» |
임계모정도(臨溪茅亭圖) - 선보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기세록
크기 및 재질 29 x 59.5cm, 유지수묵
작품 간략 설명
|
19 |
송암청문도(松菴晴問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간송미술관
크기 및 재질 28.0 x 22.1cm, 지본수묵
작품 간략 설명
|
18 |
강산제색도(江山霽色圖) - 선보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기세록
크기 및 재질 30 x 63.5cm, 유지수묵
작품 간략 설명
|
17 |
수각청천도(水閣聽泉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간송미술관
크기 및 재질 28×22.1cm, 종이에 담채
작품 간략 설명 이 작품은 한가로이 돛단배가 떠있는 물가 언덕에 자리 잡은 누각풍경을 그린 그림이다. 언덕 위 누각에 중점을 두고 멀리 원산과 강물을 뒤로 배치하였으며 한적한 은거처를 찾아가는 고사가 점경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
16 |
고사관폭도(高士觀瀑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간송미술관
크기 및 재질 28.0 x 22.1cm, 지본수묵
작품 간략 설명 비가 막 개인 청명한 봄날 단선을 들고 숲속의 평평한 언덕에 서서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소리를 듣고 있는 고사와 거문고를 어깨에 메고 고사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시동을 담은 그림이다.
|
15 |
산수도(山水圖) - 3대 작품첩
작가 및 소장처 윤용
크기 및 재질 22 x 30 cm, 지본수묵
작품 간략 설명 보기 드문 공재 윤두서(1668-1715), 낙서 윤덕희(1685-1776), 군열 윤용(1708-1740) 3대의 서화가 한데 어울린 작품이다. 본래 윤씨 집안에 가전되던 탁본 첩의 앞면과 뒷면에 있던 작품이다.
|
14 |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크기 및 재질 11.5 x 8.5cm, 지본수묵담채
작품 간략 설명
|
13 |
계산귀어도(溪山歸漁圖) - 선화첩(扇畵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서울역사박물관
크기 및 재질 19.8 x 52.4cm, 지본수묵
작품 간략 설명 이 작품은 한여름 물가의 시원스런 풍경을 배경으로 고기잡이 다녀오는 어부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근경의 언덕에는 화보풍의 활엽수가 표현되었고 그 뒤로 심하게 기운 노목의 뿌리를 드러나게 한 표현은 전대에 비해 약화되었다. 계산귀어도(溪山歸漁圖)
|
12 |
월야어주도(月夜漁舟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크기 및 재질 17.5 X 11.7cm, 견본수묵
작품 간략 설명 달빛이 그윽한 밤의 강가 촌락의 정경과 이제 강안에 막 닿아 돛을 거두어 내리는 풍범을 표현하고 있다. 근경을 중시해 강가 언덕을 화면 한편에 크게 부각시킨 구도법이나 시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수지법 등의 전형적인 가법을 보여준다.
|
11 |
농부답전도(農夫畓田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조선미술관
크기 및 재질 24 x 15 cm
작품 간략 설명 춘장(春場), 1732
|
10 |
미인도(美人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윤형식
크기 및 재질 49 X 117㎝,
작품 간략 설명 저고리 아래 겨드랑이 속살이 살짝 삐져 나왔다. 화장을 끝내고 머리를 마무리하는 순간의 자태다. 빨간색 속저고리 옷고름도 눈길을 끈다. 쌍꺼풀 없이 가는 눈, 다소곳한 콧날이 안정적이다.
|
9 |
도석인물도(道釋人物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크기 및 재질 지본수묵
작품 간략 설명 도석인물도(道釋人物圖). 바위에 기대고 있는 인물을 그린 작품이다. 옷은 간략한 선으로 얼굴은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바위는 굵은 붓으로 한번 윤곽을 만들었고 뒷 배경의 나무와 풀들은 먹의 느낌을 잘 살려낸 작품이다.
|
8 |
누각산수도(樓閣山水圖) - 화원별집(畵苑別集)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및 재질 19 X 28.1cm, 비단에 담채
작품 간략 설명 야경을 표현하는데서 강의 물결 등을 그리지 않고 안개로서 공간의 거리감을 나타내고 있으며 색의 사용, 건물 및 배의 크기 등에서도 뚜렷한 원근을 보여주고 있다. 짧은 먹선과 엉키듯 그린 빈번한 마른 붓의 사용, 태점이 많이 가해진 점 등이 눈에 뛴다. 강정완월도(江亭翫月圖)
|
7 |
종리권도(鍾離權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서강대학교박물관 소장
크기 및 재질 23.0×16.8cm, 모시에 수묵
작품 간략 설명 이 작품은 종리권이라는 신선을 그린 도석인물화이다. 이 그림에서 종리권은 체구가 크고 당당하며 반쯤 벗겨진 대머리에 양쪽으로 쌍상투를 틀고 상체는 도복을 풀어헤쳐 반나체의 모습이고 배를 앞으로 내밀고 있다.
|
6 |
홍각춘망도(紅閣春望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간송미술관
크기 및 재질 22.5 x 14.5cm, 지본설채
작품 간략 설명
|
5 |
행려도(行旅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부국문화재단
크기 및 재질 26.7×17.5cm, 종이에 수묵
작품 간략 설명 이 작품은 시동을 거느리며 나귀를 타고 깊은 산으로 들어가는 선비를 그린 기려도이다. 기암절벽을 화면의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크게 그리고 전경의 양편 언덕에서 솟아난 나무들은 고사 쪽으로 기울어지게 표현하였다.
|
4 |
증산심청도(蒸山深靑圖) - 근역화휘 천첩 19
작가 및 소장처 윤용, 서울대박물관
크기 및 재질 26.6 × 17.71cm, 종이에 수묵
작품 간략 설명 이 작품은 기암절벽으로 둘러싸인 깊은 산속에서 한 고사가 소요하고 있는 뒷모습이 보이고 그 고사가 산 중턱에는 짐을 지고 내려오는 시동이 있다. 이 시동은 멀리 있어 윤곽만 보인다는 의미로 안면의 이목구비가 생략되어 있다
|
3 |
월야산수도(月夜山水圖) - 편우령환첩
작가 및 소장처 윤용, 서울대박물관
크기 및 재질 28.4×17.9cm, 종이에 수묵
작품 간략 설명 이 작품은 자연의 정취를 즐기는 인물을 소재로 한 대경산수인물화라 할 수 있다. 키 큰 소나무와 잎이 떨어진 두어 그루 나무가 서있는 언덕에 배를 대고 떠오르는 달을 바라보는 낭만적인 모습이다.
|
2 |
연강우색도(煙江雨色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유복열
크기 및 재질 16.1 x 30 cm, 견본수묵
작품 간략 설명
|
1 |
협롱채춘도(挾籠採春圖)
작가 및 소장처 윤용, 간송미술관
크기 및 재질 27.6×21.2cm , 종이에 수묵
작품 간략 설명 이 <협롱채춘도>는 나무 바구니를 옆에 끼고 몸을 돌려 나물을 찾는 듯 먼 곳을 바라보는 여인을 그린 그림이다. 이러한 여인의 모습은 그의 조부인 공재 윤두서의 풍속화 <채애도>의 전통을 이은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