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화명도(二鳥和鳴圖), 충암(冲菴 호).
김정(金淨)의 자는 원충(元冲)이요, 명(明) 가정(嘉靖)때 사람이다.
한림와우도(寒林臥牛圖)
김식(金埴).
석상분향도(石上焚香圖)
이경윤(李慶胤)은 학림정(鶴林正)이다.
녹죽도(綠竹圖), 탄은(灘隱 호).
이정(李霆)의 자는 중섭(仲燮)이요, 석양정(石陽正)이니, 익주군(益州君)의
지자(枝子)이다.
묵죽도(墨竹圖)
위와 같다.
노안도(蘆雁圖)
이징(李澄)의 자는 자함(子涵)이요, 호는 허주재(虛舟齋)니, 학림정(鶴林正)의
아들이다.
노선결기도(老仙結綦圖), 연담(蓮潭 호).
김명국(金鳴國)이니, 명(明) 천계(天啓) 연간 사람이다.
연강효천도(煙江曉天圖)
임지사자도(臨紙寫字圖), 공재(恭齋 호).
윤두서(尹斗緖)의 자는 효언(孝彦)이니, 강희(康熙) 연간 사람이다.
춘산등림도(春山登臨圖), 겸재(謙齋 호).
정선(鄭歚)의 자는 원백(元伯)이니 강희ㆍ건륭 연간 사람이다. 나이 80이 넘어서도
겹돋보기 안경을 끼고 촛불 아래에서 가는 그림을 그려도 털끝만큼도 그릇됨이 없었다.
산수도(山水圖)
네 폭인데, 겸재.
사시도(四時圖)
여덟 폭인데, 겸재.
대은암도(大隱巖圖)
겸재. 이 위의 것은 모두 ‘정선(鄭歚)’ㆍ‘원백(元伯)’이라는 소인(小印)이
있다.
부장임수도(扶杖臨水圖), 종보(宗甫).
조영석(趙榮祏)의 자는 종보요, 호는 관아재(觀我齋)니, 강희ㆍ건륭 연간
사람이다.
도두환주도(渡頭喚舟圖), 진재(眞宰 호).
김윤겸(金允謙)의 자는 극양(克讓)이니, 강희ㆍ건륭 연간 사람이다.
금강도(金剛圖), 현재(玄齋 호).
심사정(沈師正)의 자는 이숙(頤叔)이니, 강희ㆍ건륭 연간 사람이다.
초충화조도(草蟲花鳥圖)
여덟 폭인데, 현재. ‘심사정사인(沈師正私印)’과 ‘현재(玄齋)’라는 소인이
있다.
심수노옥도(深樹老屋圖), 낙서(駱西).
윤덕희(尹德熙)의 자는 경백(敬伯)이니, 공재(恭齋)의 아들이다.
백마도(白馬圖)
군마도(羣馬圖)
팔준도(八駿圖)
춘지세마도(春池洗馬圖)
쇄마도(刷馬圖)
이상은 모두 낙서의 ‘윤덕희사인(尹德熙私印)’과 ‘낙서(駱西)’라는 소인이
있다.
무중수죽도(霧中睡竹圖), 수운(峀雲 호).
유덕장(柳德章). ‘수운사인(峀雲私印)’이 있다.
설죽도(雪竹圖)
‘수운(峀雲)’이란 두 글자와 ‘수운(峀雲)’의 인이 있다.
검선도(劒仙圖), 인상(麟祥).
이인상(李麟祥)의 자는 원령(元靈)이요, 호는 능호관(凌壺觀)이니, ‘이인상(李麟祥)’의
인이 있다.
송석도(松石圖), 원령.
‘인상(麟祥)’이란 인과 ‘기미삼월삼일(己未三月三日)’이란 소지(小識)가
있다.
난죽도(蘭竹圖), 표암(豹菴 호).
강세황(姜世晃)의 자는 광지(光之)니, ‘표암광지(豹菴光之)’의 인이 있다.
묵죽도(墨竹圖)
위와 같다.
추강만범도(秋江晩泛圖), 연객(烟客).
허필(許佖)의 자는 여정(汝正)이니, ‘연객(烟客)’이라는 소인이
있다.